본문 바로가기

산길 따라서223

낙안읍성이 내려다보이는 순천 금전산 . . . 순천 낙안에는 넓은 평야가 있고 읍성이 있다. 그 주변으로 산들이 병풍처럼 두르고 있느데 백이산, 금전산, 오봉산 등등 그 중 금전산은 산이름 때문에 유명하기도 하다. 말 그대로 돈산이다. 말로는 부처님 제자 중 금전비구가 있고 금전비구의 이름에서 금전산이 유래했다고 한다. 금전산 아래에는 천년 고찰 금둔사가 있다. 산행 시작은 보통 두 곳에서 시작한다. 불재에서 올라 오공재로 넘어가거나 낙안온천으로 내려오는 길이 있고, 낙안온천에서 금강암을 거쳐 금전산으로 오르는 길이 있다. 아무래도 오르는 기분을 느끼려면 낙안온천에서 오르는 길이 좋다. 산을 오르면서 뒤돌아보면 넓은 낙안들이 펼쳐진다. 극락문을 지나 금강암 의상대로 오르는 기분도 좋다. . . . . . . 자연석으로 만들어진 극락문을 지.. 2012. 1. 25.
산길을 가다가 해변을 걸을 수 있는 돌산종주길 3. . . . 길은 작곡재를 건너고 다시 산으로 오른다. 깊은 숲속 같은 길을 오르면 성터가 나오고 산정이 본산이다. 이름이 본산이니 돌산의 중심??? . . . . . . 바다를 보면서 내려가다 오르기를 몇번 고인돌을 만나고 대미산으로 오른다. 산길은 잘 정비되어 있다. 계단으로 이어진 길 산 정에는 이층 팔각정이 있고 우물도 있다. 물 한모금 마신다. 달다. 산꼭대기에선 성이 있다. 월암산성이다. 이곳에서 바라본 바다는 너무나 아름답다. 발 아래로 무술목이 가늘게 이어지고 바다에 떠 있는 작은섬이 조화를 잘 이룬다. . . . 머리 조심 . . . 대미산에서 무술목으로 내려선다. 해양수산과학관을 지난다. 산에서 본 풍경은 이제 눈높이로 다시 본다. 전혀 다른 느낌 여전히 아름다운 풍경 . . . . . .. 2012. 1. 23.
바다를 보면서 오르락 내리락. 돌산종주길 2. . . . 금오산에서 내려오면 길은 율림치를 건너고 다시 산을 오른다. 흔들리지 않는 흔들바위를 만난다. 아무리 밀어도 힘만 든다. 바위는 허공에 떠 있는 모습이다. . . . . . . 이름 없는 산봉우리를 오르락 내리락 그러다 돌산에서 제일 높은 산인 봉황산으로 오른다. 최고봉이래야 460m다. 그래도 얕보다가는 혼난다. 산은 바닷가에서 오르내리니 거칠기는 똑 같다. 향일암에서 걸어온 길이 7km 돌산대교까지 걸어갈 길이 24km . . . . . . 봉황산에서 내려서면 갈미봉으로 오르내린다. 갈미봉 331m로 숲속에 있는 산이다. 깊은 산속에 들어선 기분이다. . . . . . . 갈미봉을 지나면 봉양재를 지난다. 돌산 종주길에서 재는 버스가 지나가는 길이다. 힘들면 언제든지 멈추면 된다. 그게 돌.. 2012. 1. 22.
일출을 기다리는 향일암에서 시작하는 돌산종주길 1. . . . 여수에서도 돌산도에는 종주길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7번째로 큰 섬인 돌산도에는 등뼈를 더듬으며 걸어가는 길이 있다. 말 그대로 맥을 짚어간다. 길 시작은 돌산대교에서부터다. 길을 걸어걸어서 32km를 걸으면 향일암에 다다른다. 이길의 매력은 일출과 일몰을 볼 수 있고, 바다를 항상 볼수 있다. 길을 처음 타는 사람은 돌산대교에서 타는 게 매력적이다. 말 그대로 바다끝으로 가야 하는 목적을 가지기가 좋으니까. 아니 향일암으로 간다는 게 더 멋지니까. 근데 꺼꾸로 가는 길도 좋다. 향일암에서 돌산대교로 가는 길. 이 길은 향일암에서 일출을 보고 돌산대교에서 일몰을 볼 수 있다. 운이 좋으면... . . . . . . 새벽 버스를 타고 향일암으로 향한다. 여수 종점에서 5시40분에 출발하는 버스가 .. 2012. 1. 16.
기암과 어울린 대둔산 단풍 구경 하실래요? 전라도와 충청도가 만나는 곳에 아주 험한 산이 하나 섰다. 대둔산(878m)이다. 완주 나들목을 나와 완주들판을 가로질러 대둔산으로 향한다. 구불구불 들어가는 산중은 아주 깊다. 산 입구는 벌써 많은 차들로 가득 찼다. 대둔산 상가지구를 지나 산길로 들어선다. 산 중턱까지 케이블카가 운행한다. 케이블카가 머리위로 지나간다. 등산로로 들어서면 전적 탑이 섰다. ‘동학농민항쟁 대둔산 항쟁전적비’다. 구 한말 동학농민군 1000여명이 험준한 대둔산으로 들어와 3달간 이곳에서 관군에 항쟁하다 전몰하였던 곳이란다. 산길이 시작된다. 시작부터 계단길이다. 등산객들이 줄을 지어 올라간다. 단풍구경하러 수많은 사람들이 대둔산을 찾았다. 산길은 너덜길이다. 협곡에 부서진 작은 바위들을 차곡차곡 쌓아서 돌계단을 만들었다... 2011. 10. 28.
개머리를 닮은 산. 견두산에 올라 견두산을 찾아간다. 개머리를 닮은 산? 높이는 774.7m 백두대간 끝자락인 지리산 만복대에서 섬진강을 향해 흘러내린 산 그 중에 견두산이 있다. 견두산은 오르는 길은 남원과 구례로 지나가는 19호선 국도 밤재터널 입구에서 시작된다. 밤재까지 가는 길은 임도를 따라가다, 삼나무 숲길로 들어서기도 한다. 밤재터널에서 1.1km 밤재 정상에는 커다란 표지석이 있다. 예전에 구례와 남원을 넘어다니는 중요한 교통요지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밤재에서 견두지맥이 흘러간다. 견두산 지나고, 천마산 지나, 형제봉, 갈미봉을 지나면 섬진강과 맞닫은 월암마을까지 이어진다. 총 29.8km 하루 정도 걸어볼 만한 길이다. 오늘은 다 걷지 못하고, 견두산 올라 현천재에서 현천마을로 내려설 계획이다. 밤재에서 견두산까지 3.0k.. 2011. 4. 6.
무등산은 수정병풍을 두른 산 무등산 옛길 2구간, 원효사에서 서석대까지 무등산을 찾아간다. 구불구불 산으로 낸 도로. 산수동에서 원효사까지 구불구불한 도로를 따라 간다. 원효사 입구는 무등산 옛길 1구간이 끝나고 2구간이 시작되는 곳이다. 무등산 옛길 1구간으로 산수동-충장사-원효사 7.75km다. 산책로 같은 숲길을 쉬엄쉬엄 걸어가기에 좋다. 무등산 옛길 2구간은 원효사-제철유적지-서석대까지 4.12km다. 짧다고 생각하면 오산. 여기에는 내려오는 길은 포함되지 않았다. 무등산 옛길 2구간은 올라가는 길만 있다. 내려오는 길은 장불재거쳐 비포장도로와 산길을 7.1㎞ 돌아와야 한다. 결국 무등산 옛길 2구간은 11.22㎞다. 여유있게 걸으면 대충 5시간 정도. 원효사 입구 주차장에서 산길로 들어선다. 산길은 봄기운이 물씬 배어난다... 2011. 3. 21.
다도해 정취가 물씬 풍기는 백야도 백호산 하얀 호랑이 섬, 백야도 여수시에서 화양면으로 빠져 구불구불 가다보면 백야대교를 건넌다. 몇 해 전까지 섬이었다가 다리가 연결되어 육지처럼 되어버린 섬이다. 백야도는 면적 3.08㎢, 해안선길이 11.3㎞이다. 여수에서 남서쪽으로 18.5㎞ 떨어져 있다. 원래는 호랑이같이 사나운 사람이 산다 하여 백호도(白虎島)라 불렀으나, 1897년 돌산군 설립 당시 백야도(白也島)로 개칭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백호산에 봉수대와 백야산성이 있었고, 말을 사육하던 백야목장이 있었다. 백야도 앞바다로 흐르는 백야수도에는 1928년 12월에 세워진 백야도 등대가 있다. 백야도에는 백호산이 있다. 옥정산(玉井山)이라고도 부르는 백호산은 해발 286m로 3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고, 산세가 범(虎)의 모양과 돌의 색이 흰(白).. 2011. 3. 9.
바다가 그리울 때, 이곳 향일암으로 오라. 자연 석문을 지나 향일암으로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향일암으로 향한다. 향일암까지 가는 길에는 동백이 아직 꽃을 피우지 않았다. 상가가 나오고 위로 오르는 길이 있다. 가파르게 오른다. 오르는 길은 심심하지 않다. 상가마다 갓김치 무치면서 먹어보라고 한다. 빨갛게 윤기가 흐르는 것이 먹음직스럽다. 매표소를 지나면 일주문으로 오르는 계단이 높이 섰다. 계단을 올라간다. 일주문 현판에는 금오산향일암(金鰲山向日庵)이라고 써 있다. 일주문을 지나서 숲길을 걸어간다. 낙엽이 져버린 숲은 삭막하다. 길은 커다란 바위를 만나고 사람하나 겨우 지나갈 석문을 지난다. 기분이 묘하다. 이리 좁은 석문이 자연적으로 생긴 것도 신기하지만 이 길을 통해서 향일암으로 오르게 만든 것도 신기하다. . . . 향일암으로 . . 관음전.. 2011. 3. 8.
눈 덮인 한라산. 성판악에서 백록담까지… 새벽에 일어나 성판악으로 향한다. 성판악에 도착하니 사위는 캄캄하고 달이 아직 하늘에 있다. 성판악휴게소에서 아침을 먹고 산행 준비를 한다. 어스름을 뚫고 산으로 오른다. 산길은 눈길이다. 온통 하얀 눈으로 덮인 길을 사각사각 밟으며 오른다. 성판악에서 백록담까지 9.6㎞. 멀기만 하다. 눈길에서 아침 해를 맞으며 산길을 재촉한다. 속밭대피소를 지난다. 나무들은 햇살을 받으며 빛난다. 잎이 하나도 없이도 잘도 지낸다. . . 출발 . . . . 진달리밭대피소 휴식 . . 1500m에 있는 진달래밭대피소에서 간단한 음식을 먹는다. 정상으로 향하기 전에 원기를 보충한다. 생각보다 빨리 올라왔다. 산길은 환하다. 구상나무들이 푸릇푸릇한 생기를 자랑한다. 눈 속에서도 빛나는 나무. 눈과 어울려 아름다운 풍경을 .. 2011. 2. 25.
조계산 오르는 길에 만난 암자, 비로암과 대각암 순천에는 천년 고찰을 품은 조계산(曹溪山, 884m)이 있다. 정상 장군봉을 위시해서 연산봉, 천자암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흐르고, 굴목재에서 장군봉을 지나 접치로 호남정맥이 관통해 간다. 높은 산이 별로 없는 전라남도에서는 높은 산이지만 산세가 완만한 육산으로 많은 사람들이 부담없이 오를 수 있는 산이다. 조계산 오르는 길은 여러 군데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곳이 선암사에서 오르는 길이다. 선암사 매표를 하고 산사로 가는 길을 걷는다. 언제 걸어도 아주 편안한 길이다. 계곡을 따라 자연스럽게 구불거리는 길을 따라 걸어 올라간다. 나무장승이 커다란 눈을 부라리며 반겨준다. . . . . 선암사 들르지 않고 대각암 오르는 길로 등산로가 있다. 정상까지 2.7㎞. 길 옆으로 마애불이 커다란 귀를 늘어뜨린 채.. 2011. 2. 24.
향일암에서 성두마을 가는 오솔길 풍경  향일암은 바다를 향한 소원 올 겨울 유난히 추운 탓에 봄을 기다리는 마음은 조급하기만 하다. 남쪽 바닷가에는 봄이 오고 있을까? 동백은 피었을까? 작년 이맘 땐 변산바람꽃도 피었던데. 여수 향일암으로 달린다. 돌산대교를 넘어서 길은 구불구불 해안선을 따라간다. 향일암 주차장에서 내려 걸어간다. 길가로 동백들이 아직 꽃은 피우지 못하고 싱싱함만 자랑하고 있다. 붉게 핀 동백이 보고 싶었는데. 향일암으로 오르는 길은 사람들로 북적인다. 서둘러 나온 나들이에 불심을 가득 담고 암자로 오른다. 향일암 대웅전은 불탄 아픔을 치유하지 못했지만 그를 향한 소원들은 수많은 초들로 타오르고 있다. 관음전에서 염불소리가 청아하게 들려온다. 많은 신도들이 기도를 하고 있다. 간절한 소원들이 절집을 돌아서 넓은 바다로 흘.. 2011. 2. 22.
여수반도 끝 봉화산에 올라서서 바다를 품다. 등산로 7.6㎞, 3시간 30분 소요 예년보다 추위가 지속되는 겨울. 몸도 마음도 움츠러든다. 그러다보니 당연 밖으로 나가려면 큰 맘 먹어야 한다. 여수 고돌산반도의 남쪽 끝자락에 우뚝 선 봉화산으로 향한다. 해안선을 따라 이리저리 구불거리면 오른쪽으로 등산로 표지판을 만난다. 도로변에 차를 세우기 곤란하여 원포마을까지 내려갔다 다시 올라온다. 등산로 표지판은 2009년 희망근로사업으로 정비 했다고 안내하고 있다. 희망근로사업 덕에 산길 몇 군데 정비한 것은 산행을 즐기는 사람들에게는 즐거운 일이다. 안내판에는 등산로가 7.6㎞, 3시간 30분 걸린다고 알려준다. 야트막한 야산을 오르는 기분으로 산길로 들어선다. 산길은 키 작은 나무들이 자라는 탓에 햇살을 받아 포근한 느낌을 준다. 처음부터 가파르게 오.. 2011.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