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유산 둘러보기

장고처럼 생긴 독특한 고분형태, 월계동 장고분

by 솔이끼 2017. 4. 26.

 

2017. 4. 22.

광주광역시 월계동

 

장고분이 있다기에 찾아간다.

장고분?

생소한 이름이지?

 

고분?이라는 용어도 어렵다.

옛날 무덤인데 장고처럼 생겼다고 해서 장고분이라는 이름이 붙었단다.

 

무덤이 어떻게 장고처럼 생기지?

그래서 보고 싶다.

 

 

 

 

월계동 장고분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시대를 삼국시대(백제)라고 표기한 것이 알쏭달쏭

축조시기는 5~6세기로 추정

 

그런데 내가 생각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음

 

역사기록에는 마한은 4세기경 근초고왕 때 백제에 병합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나라가 병합되면 지배층의 문화양식이 통일되어야 하는데

호남의 영산강 유역은 그렇지 않았다.

영산강 일대에서는 여전히 많은 고분들이 축조되었고,

출토된 유물도 백제와는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6세기까지 마한이 독립된 세력으로 존재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짧은 역사상식으로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마한이 백제에 병합되었다면

백제가 마한의 독립된 문화와 생활양식을 존중해 주었을리가 없었을 것이다.

특히 고대국가에서는......

 

영산강 유역에서만 발견되는 장고분 형태도 또한 그렇다.

 

 

 

 

월계동 장고분은 광주 첨단지구 아파트 단지 안에 있다.

 

월계동 장고분은 영산강 상류 낮은 구릉지대의 장구촌 마을에 위치하고 있었다.

전라도 사투리로 '장고'를 '장구'라고 한다.

고분 형태가 장고를 닮아서 마을이름도 장구촌이 되었다.

 

그러다

일대가 대규모 택지지구로 개발되면서 발굴조사하게 되었고

고분은 일제시대 때 도굴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나온 유물은 그나마 철제 유물과 토기류 정도

 

 

 

 

장고분은 일본에서 전방후원분이라는 형태로 남아있다.

마한과 일본이 아주 친밀한 관계였음을 확인하는 유물이다.

 

 

 

 

장고분은 2기가 있다.

하나는 크고, 하나는 조금 작다.

 

 

 

 

특이한 것은 무덤 주위로 해자가 있다.

 

 

 

 

 

 

 

하나의 무덤에 봉분이 2개다.

한쪽에 묘실이 있다.

 

 

 

 

 

 

 

고분 옆으로 길이 있어 들어가본다.

 

 

 

 

 

 

 

석실은 막혀있다.

 

 

 

 

내부는 이렇게 생겼다.

 

한참 보고 있다가

혼났다.

관리인이 오셔서

들어가면 안되는 곳이니 나오라고 한다.

민망하다.

출입금지 표지는 보지 못했다.

죄송

 

 

 

 

꼬들빼기가 꽃을 피우고 있다.

 

 

 

 

물가에 자라는 개구리자리도 꽃을 피우고 있다.

 

 

 

 

 

 

 

특이한 형태다.

 

 

 

 

동그라미와 세모를 붙여놓은 것 같은 모양이다.

 

 

 

 

옆에 있는 작은 장고분

 

 

 

 

 

 

 

앞에 것이 작은 거고 뒤에 것이 큰 고분이다.

 

 

 

 

 

 

 

 

 

 

 

 

 

 

 

 

역사의 해석은 진실을 말해야 한다.

입증이 안되면 상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억지 추정은 역사를 왜곡할 뿐이다.

 

.

 

.

 

.

 

길 위에 서 있을 때

 

2017. 4. 22. 광주광역시 월계동 장고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