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수정2

고려시대 산수원림의 기법으로 조성된 독수정원림 2015.1.10. 담양 정자로 유명한 소쇄원 주변 좀 더 안으로 들어가면 면소재지가 나오고, 골목을 꺽어 들어가면 무돌길 안내판과 더불어 독수정원림 이정표를 만난다. 가파르게 오르는 길에는 오래된 나무들이 키자랑 하듯 섰다. 독수정 원림은 작은 정자 하나와 주변에 심어진 소나무, 배롱나무들로 이루어져 있다. 큰 산을 두루고 언덕 위에 자리잡은 정자는 내려다보는 경치가 좋다. 독수정원림을 조성한 서은 전신민(瑞隱 全新民)은 고려말의 공민왕 대에 북도안무사(北道按撫使) 겸 병마원수(兵馬元帥)를 거쳐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역임하였고, 고려가 멸망하자 두문동 72현(杜門洞 72賢)과 함께 두 나라를 섬기지 않을 것을 다짐하며 이곳에 은거하면서 정자를 지었다고 전한다. 현재의 독수정 건물은 고종 28년(1891.. 2015. 2. 4.
정자 이름 때문에 더욱 외롭게 보이는 독수정 원림 . . . 담양 남면 소재지에는 독수정이 있다. 큰 길에서 벗어나면 작은 천을 지나 산골마을로 올라가는 아주 정감 있는 길과 만난다. 커다랗게 구불거리는 길 언덕에는 작은 정자가 자리를 잡았다. 숲 속이지만 내려다보는 경치가 아주 좋다. . . . . . . 독수정 고려시대에 세워진 정자다. 대부분 정자가 조선중기에 세워진 것에 비하면 역사가 아주 깊다. 고려 공민왕 때 병부상서를 지낸 전신민(全新民)이 세운 것이란다. 고려가 망하자 두 나라를 섬기지 않겠다며 이곳에 독수정(獨守亭)을 세우고 은거했다고 한다. 독수정이라는 이름도 특이하다. 이백의 시에서 따온 것이라고는 한데, 꼭 독수공방이라는 암울한 단어가 생각난다. 은둔한 자의 마음이었을까? 독수정(獨守亭)이란 명칭은 이백(李白)의 시에 나오는 ’夷齊.. 2012. 1. 9.